대마도정벌 이미지.
대마도정벌 이미지.

거제는 우리나라에서 일본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 경상도 및 전라도 지역에 침입한 왜구가 반드시 거쳐 가는 길목이었다. 거제 이외의 지역에 침입한 왜구 대부분도 거제를 거쳐 갔다. 

대마도정벌은 조선 개국 3년 전인 고려 공양왕 1년(1389) 2월 박위가 병선 100척을 이끌고 대마도를 공격해 왜선 300척을 불사르고 고려 백성 100여명을 찾아온 것이 처음이다.

이후 조선 건국 직후 태조 5년(1396)에도 우정승 김사형을 보내 대마도를 정벌하게 된다. 이때 조선 태조는 김사형에게 보내는 교서에 대마도정벌의 이유를 '국내외 백성을 편안케 하기 위함'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세종 1년(1419) 5월14일 상왕(태종)은 전군에 비상소집령을 내려 조선수군의 주력군을 거제 '견내량'에 집결시키라 명했다. 거제 수군진 중에서 가장 먼저 설치된 영등포진은 대마도정벌 준비시기인 세종 즉위년(1418)에, 이전에 옮겼던 진을 다시 설치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건국 이후 조선은 고려말 삼별초와 왜구의 출현으로 연해 지역의 소규모 군현을 이전하거나 폐지한 곳에 수군을 동원해 개간하는 정책을 펼치는데 영등포진도 이때 수군이 영전을 개간한 것으로 짐작된다. 

거제지역 수군진은 대마도 정벌과 거제현 복귀 이후부터 점점 늘어나 경상우수영의 중심이자 조선수군의 핵심 전력이 된다.  

 

★ 한국사 산책 = 기해동정(대마도정벌)

대마도는 예부터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 해협에 위치해 중개무역으로 경제를 이어갔다. 토지가 협소하고 척박했던 대마도는 식량 대부분을 외부에서 들여와야 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조공(朝貢)을 받는 대가로 미곡(米穀)을 받았다. 

하지만 대마도의 왜구들은 기근이 심할 때면 해적으로 변해 우리나라 해안을 약탈했고, 조선 조정은 그 근원을 제거하기 위해 '대마도정벌'을 계획한다. 

세종 1년 6월17일 이종무는 견내량를 떠나 출정했지만, 기상 상태가 좋지 못해 이틀 뒤인 6월19일 사시(巳時 : 오전 9∼11시)가 돼서야 거제도 남쪽 주원방포(周原防浦-한산도 추봉리 추원포)를 떠나 6월20일 오시(午時 : 오전 11∼오후 1시)에 대마도 두지포(아소만 인근)에 도착해 대마도를 정벌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