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창일 편집국장

▲배창일  편집국장
산업은행이 세번째 대우조선해양 살리기에 나섰다. 산은은 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이다. 산은은 지난달 29일 대우조선해양 정상화를 위해 수출입은행과 함께 4조2000억원의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1989년과 1999년에 이은 세 번째 지원이다.

대우조선은 1978년 출범했다. 국영기업 대한조선공사가 짓던 옥포조선소를 대우가 떠맡게 되면서 탄생했다. 대우조선은 80년대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했다. 산업은행이 처음 대우조선 구하기에 나선 건 노사분규의 회오리 속에 폐업직전까지 몰렸던 1989년이다.

당시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의 기존 대출금 2500억원을 7년 거치 10년 분할상환으로 상환 유예하고 1500억원의 신규 대출을 제공했다. 기존 여신에 대해서는 거치기간 중 이자 면제의 혜택도 줬다.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의 대우증권 주식 및 대우빌딩 등 부동산 매각과 각 개열사의 유상증자 등 40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도 실행됐다.

이렇게 살아난 대우조선은 1994년 대우중공업에 합병된다. 대우중공업은 1993년 8822억원의 매출에 167억원의 순익을 기록한 회사였고, 대우조선은 매출 1조5545억원, 2600억원의 순익을 기록했었다.

그러나 외환위기의 파장이 이어지던 1999년 대우중공업에 유동성 위기가 닥쳤다. 채권단은 1999년 대우중공업 등 12개 계열사에 워크아웃을 선언했다. 2000년에는 대우중공업을 대우조선공업과 대우종합기계로 나누고 두 회사에 대한 출자전환을 단행했다.

산업은행은 여기서 1조1714억원의 출자전환을 단행하며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가 됐다. 2002년 대우중공업에서 해양부분을 분리하고 이름도 대우조선해양으로 변경했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에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05년 이 회사의 매각을 결정했다. 때마침 불어온 조선업의 호황으로 매각은 순탄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며 한화와의 협상은 깨졌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을 여전히 자회사로 남겨두다 결국 부실의 문제가 불거졌다.

대규모 지원방안을 발표한 산은 측은 "2019년 완벽한 정상화를 이룰 것"이라며 "이 기간까지 매각작업을 함께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조선업 불황의 끝이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전망은 다소 불투명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지역경제나 조선업 전체에 미치는 파장을 감안할 때 대우조선의 확실한 부활은 절실하다.

다행히 정부는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를 확실히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재 채권단 관리 하에 있는 STX조선, 성동조선, SPP조선 등은 빅3가 위탁경영하거나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빅3 조선사에 대해선 통폐합 등 강제적인 구조조정보다는 자구계획 등 기업 자율에 맡기는 방안을 중심으로 조선업 전체 구조조정 계획을 구상 중이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 빅3가 자체 생존이 가능한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 주도로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추진되는 것은 채권단 중심의 조선업 구조조정이 그동안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관건은 조선업 시황이 언제 회복되느냐다. 전문가들은 각종 예측을 토대로 2017년까지는 불황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은 각각 3조318억원, 1조5481억원, 171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빅3의 영업손실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산업구조의 공급과잉 등 복합적인 요인 탓이라고 분석한다.

삼성과 대우 관계자는 앞으로 3년 동안 뼈를 깎는 아픔을 감내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동지역에서 전쟁이라도 발생해 국제유가가 급등하지 않는 한 지금의 어려움은 계속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다. 지금의 현실도 언젠가는 지나간다. 앞으로 거제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실로 닥쳐온 조선업계의 구조 조정과 함께 지역물가 등에 대한 구조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