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 당시의 농소리고분 모습.
발굴 당시의 농소리고분 모습.

거제시 장목면 농소리 일대는 큐슈지역에서 배가 건너올 경우 꼭 거쳐서 가는 하는 곳으로 경남 남해안 일대를 그물망처럼 이어주는 꼭짓점의 역할을 수행한 지리적 요충지였다.

거제지역은 6세기 가야와 신라의 각축장이었던 낙동강과 남강 일대의 내륙지역에 비해 주변 정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았고, 때문에 학계에선 무덤의 주인이 가야와 신라의 영향력 없이 고향인 일본 큐슈지역의 특징을 고분에 담아낼 수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고분이 단독으로 축조된 것은 무덤 주인이 단순교역을 목적으로 한 인물이 아닌 중요한 목적에 따라 왜(倭)가 직접 파견한 전문 인력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료라는 의견도 있다.

또 무덤의 주인이 생전에 활동했을 시기와 석실에 매장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하면 무덤을 만든 왜인들이 한반도에서 활동한 시기는 6세기 전엽∼중엽 무렵으로 2세대를 넘기기가 어려웠을 것으로 보이며, 이후 가야국의 국력이 쇠락하는 시기에 관련 업무를 정리하고 본국으로 귀국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현재 거제 남부지역에 해당하는 남부면이나 일운면 일대에 농소리 고분과 유사한 성격의 고분이 발견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농소리고분에서 출토된 유적들.
농소리고분에서 출토된 유적들.

거제 최북단에 위치한 농소리고분은 마산·진해·고성지역으로 진출하기 적합한 곳이지만 남북 방향으로 긴 거제의 지형적 특성상 거제 남쪽지역을 거점으로 한 세력을 구축해야 사천·여수·순천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가야지역을 동·서로 분리해 효율적인 교류활동을 할 수 있어 보여서다.

거제시는 고대 한·일 교류의 꼭짓점 역할을 했던 농소리고분을 경남도 지정문화재 등재에 이어 국가사적 등재까지 계획하고 있다. 농소리고분이 가진 역사적 배경이 한일 교류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다.

농소리 고분은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왜계고분군과 달리 독립적인 왜계고분이라는 점에서 다소 사적 지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오히려 독립고분 축성은 농소리 고분과 무덤 주인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