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연이은 악재에 휘청거리고 있다. 대규모 부실에다 지난달 말 발생한 통근버스 추락사고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던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해 2명의 근로자가 숨졌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 통영지청은 이 사고와 관련해 사고 선박과 인근에서 작업 중인 선박 2척에 대해 전면 작업 중지 명령을 내렸다. 노동부 통영지청은 사고 선박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회사 측 안전책임 관리자 등을 상대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한다고 밝혔다.

경찰에서도 합동감식반을 동원해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확인되면 안전책임 관리자를 사법처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올 2분기 3조원이 넘는 대규모 부실이 현실화 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업과 무관한 자회사를 정리하고 계열사 구조조정 등 인적쇄신을 위한 작업에 돌입한 상태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경영 정상화 작업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여기에다 노동조합이라는 암초까지 남아있는 상태다. 대우조선노조는 오는 9월9일 파업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성립 신임사장이 회사 회생을 위해 동분서주 한다고는 하지만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그것도 산업은행의 눈치를 보면서 말이다.

대우조선해양의 잇단 악재는 명확한 주인이 없는 상태가 지속됐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가 발생해도 아무도 책임을 지려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지난 24일 자회사 매각방안을 발표하면서 대우조선해양 등 비금융 자회사 역시 신속히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7년 전 한화그룹이 6조4000억원을 제시했던 대우조선해양의 몸값은 현재 6000억원대로 떨어져 있다. 각종 문제에 책임을 지지 않고 속도조차 느려터진 정부 은행이 자회사를 거느리며 재벌 흉내를 내온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더 이상 대우조선해양을 주인 없는 상태로 내버려두는 것은 곤란하다. 대우조선해양이 정상적인 경영을 통해 진정한 거제의 향토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주인을 맞이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그렇지 않으면 지역 경제는 물론 국가 경제에도 악재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거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